군인 휴가 TMO 사용법

군인 휴가 TMO 사용법 알아보기(KTX 승차권 예매)

군 복무 중 포상 휴가, 위로 휴가, 보상 휴가 등의 사유(연가 제외)로 휴가를 승인 받은 경우 코레일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TMO에 직접 방문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있었지만 지금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TMO 방문 없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군인 휴가 TMO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심 요약

  1. 휴가증이 발급된 상태여야 한다. 단, 휴가에 연가가 포함되어 있으면 안 됨.
  2. 스마트폰에 ‘밀리패스‘ 앱을 다운로드한다.
  3. 승차권 예약을 신청하고 알림이 오면 ‘코레일‘ 앱에서 발권을 완료한다.





TMO가 무엇인가요?

TMO는 국군수송사령부에서 군 장병들의 수송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사무실입니다. 과거에는 부대에서 발급한 종이 휴가증을 가지고 TMO에 직접 방문하여 종이 승차권을 받아야 했습니다. 휴가 출발 당일이나 부대 복귀일에 TMO를 직접 방문하여 승차권을 예매해야 했기 때문에 이미 원하는 시간대에 남은 좌석이 없어 곤란한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휴가 출발 전 미리 코레일 앱을 통해 좌석을 예매한 뒤 TMO에 방문하여 발권한 승차권을 취소하고 무료승차권을 받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밀리패스’ 앱을 통해 휴가 도중 TMO 방문 없이도 온라인을 통해 승차권을 예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청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첫 번째, 휴가 신청 완료하기

밀리패스 앱을 통해 승차권을 예매하기 위해서는 먼저 휴가 신청이 완료되어 전산에 등록이 되어야 합니다 만약 휴가 정산 때문에 휴가 신청이 늦어질 것 같은데 코레일 좌석 여유가 없는 시기와 겹치는 경우라면 휴가 출발일이라도 따로 신청을 해서 승인을 받아 아래 과정을 진행하거나 과거의 방법대로 코레일 앱으로 승차권을 미리 결제한 뒤 TMO에 직접 방문하면 됩니다. 버스 후급증 같은 경우에는 미리 승차권을 구매했을 경우 취소 수수료를 요구하는 악덕 회사(춘천에 있음)도 있지만 코레일 TMO에서는 수수료 없이 환불을 해주고 무료승차권을 제공하므로 크게 문제될 게 없습니다.

그리고 휴가에는 연가가 포함되어 있으면 안 됩니다. 연가의 경우에는 교통비가 별도로 군인 월급에 포함되어 지급되기 때문에 TMO 무료승차권이나 버스 후급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병 위로 휴가에 연가를 붙이는 경우에도 TMO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두 번째, 밀리패스에서 승차권 예약하기

밀리패스 앱 화면에 보이는 휴가확인서(철도예매)를 누르면 국방망을 통해 신청한 휴가가 연동되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신청한 휴가 목록(포상, 보상, 위로 등) 중 승차권 발권을 희망하는 날짜에 해당하는 휴가를 클릭하고 ‘예매하기’ – ‘KTX 예매 신청’ 순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밀리패스 앱은 앱 전환 시 입력 정보가 초기화되는 경우가 있으니 미리 희망하는 열차의 시간과 본인의 코레일 회원번호를 적어두고 신청하는 게 편합니다.

카카오톡 TMO 예약 알림톡

TMO 근무병이 승차권 예약 정보를 확인하고 처리하면 위와 같은 카카오톡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 전산을 통해 진행되는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휴가 신청과 승인을 받고 이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레일 - 승차권 예매 - 예약 승차권 조회·취소
코레일 – 승차권 예매 – 예약 승차권 조회·취소

 

다음으로 코레일 앱을 통해 예약 승차권을 발권만 하면 TMO 방문 없이 모바일로 승차권을 신청하는 과정 끝입니다.

국방부에서 휴가 군인에게 지원하는 이 승차권은 휴가 출발일 또는 휴가 복귀일이 아니더라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가능 횟수도 왕복으로 총 2번(환승을 해야 하는 경우 4번까지 이용 가능)이므로 집과 부대 사이가 가까운 경우에는 휴가 도중 다른 목적으로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친척 집이 부산에 있어서 휴가 동안 거기서 지내기로 했으면 거기가 집이니까요.





TMO에 직접 방문하는 경우

TMO 이용방법

TMO 이용방법

병무청에서 제공하는 매뉴얼입니다.

  1. 부대에서 휴가증을 받습니다.
  2. 부대 인근 TMO에 방문합니다.
  3. 휴가증 제시 후 열차 승차권을 예매합니다.

*반드시 휴가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밀리패스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종이 휴가증 대신 밀리패스에 나오는 온라인 휴가증을 주민등록증과 같은 신분증과 함께 제시하는 것으로도 TMO 이용이 가능했습니다.

코레일 앱으로 미리 발권한 승차권이 있다면 TMO에 방문해서 코레일 앱 화면을 보여주고 취소 수수료 없이 무료승차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TMO 위치(서울, 수원, 춘천, 동대구)

모든 역마다 TMO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주요 역에는 TMO가 있습니다. 만약 한 쪽 역에 TMO가 없는 경우 미리 다음 편도 승차권도 함께 발권 받으면 됩니다.

서울역 TMO

서울역 TMO
서울역 3번 출구

서울역 TMO는 2층, 3번 출구 근처에 있습니다.

수원역 TMO

수원역 TMO

수원역 TMO

수원역 TMO는 조금 외진 곳에 있습니다. 수원역 환승센터를 가는 출구(2번, 3번 출구 방향)를 나와서 앞으로 더 걸어가는 것이 아니라 출구 바로 앞에서 차도처럼 보이는 길 왼쪽을 보면 수원역 TMO 표지판이 보이고 기둥 뒤에 입구가 숨겨져 있습니다. 호출 벨을 누르면 TMO 근무병이 방문 목적을 물어보고 출입문 잠금을 해제시켜줍니다.

춘천역 TMO

역과 거리가 조금 있는 춘천역 TMO
역과 거리가 조금 떨어진 춘천역 TMO
춘천역과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TMO
춘천시 공지로 613(네이버 지도 바로가기)

춘천역은 TMO가 역에 있는 게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처음 사진 오른쪽 길로 쭉 걸어가다 보면 ‘TMO가 있는 게 맞나? 잘못된 정보인가?’ 싶은 생각이 들 때 TMO가 보입니다.

동대구역 TMO

 

동대구역 TMO 위치

동대구역 TMO는 4번 출구 옆에 있습니다. 4번 출구에서 나와서 광장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꺾어서 이동하면 바로 TMO를 찾을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