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비노기 모바일 화염술사 룬 세팅

마비노기 모바일 화염술사

마비노기 모바일에서 화염술사는 무난하게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마법사 계열의 클래스입니다. 현재 대미지 딜링 측면에서는 석궁사수를 따라올 클래스가 없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긴 합니다. 하지만 화염술사는 대미지 딜링 자체도 ‘1석궁=2화술=6수도’라는 말이 있듯이 생각보다는 나쁘지 않은 순위로 평가 받고 있으면서도 유지력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어 포션 파밍의 강제가 덜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염술사는 어떤 장신구 룬을 선택해야 하나요?

마비노기 모바일 화염술사 스킬

마비노기 모바일에서는 스킬 기본 대미지가 없고, 스킬 레벨에 따른 스킬 계수 그리고 캐릭터의 공격력을 곱하여 대미지가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즉, 스킬의 계수와 쿨타임을 통해 계수 DPS를 계산해보면 어떤 스킬이 효율적인지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화염술사는 1번, 2번, 3번, 4번 스킬로는 열기를 쌓고 5번 스킬로 그 열기를 소모하면서 대미지를 넣는 방식입니다. 열기를 소모할 때마다 패시브 ‘버닝 소울’의 효과로 3단계 기준 공격력이 15% 증가하고 스킬 재사용 대기 시간이 20% 감소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스킬 표에서는 익스플로전과 잿더미 계수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잿더미는 생성된 불길을 스택으로 변환하여 공격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계수가 더 높다는 점을 생각하면 가장 우선적으로 채용해야 하는 룬입니다. 잿더미 스킬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열기 생성을 자주 해야 합니다. 열기 생성은 주로 1번 스킬과 4번 스킬이 담당하고 있는데 분출 룬을 사용하면 지속 시간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잿더미와 시너지가 발생하여 같이 활용하기 좋습니다.

그럼 남은 선택지로는 전투 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1번 스킬을 변형하는 불씨, 2번 스킬을 변형하는 불기둥, 3번 스킬을 변형하는 화력 정도가 있습니다.

  • 불씨: 래피드 파이어의 연타 태그를 강타로 변경하게 됨(단점), 다수의 적을 상대로 공평한 계수만큼 대미지를 넣지만 단일 대상으로는 래피드 파이어와 크게 차이나지 않음
  • 불기둥: 스킬 스택이 2회로 늘어나지만 계수는 낮고 쿨타임은 긴 편, 태그 또한 강타로 잿더미와 공통되는 태그는 원소뿐
  • 화력: 마찬가지로 잿더미와 공통되는 태그는 원소뿐이지만 기본적으로 스킬 스택 2회에 계수가 높고 스킬 쿨타임도 불기둥과 비슷하며, 열기가 50 이상이면 강화 형태로 변형되어 불기둥처럼 1번 스킬 초기화가 가능함

다음과 같이 정리가 되기 때문에 마지막 룬 선택은 화력 룬이 정배라고 생각됩니다. 추가로 화력 룬을 착용하면 플레임 캐논 쿨타임이 20초에서 14초로 감소하는데 캐논을 적중시키면 낙인을 부여하여 8초 동안 받는 피해가 20% 증가합니다.

화염술사 스킬 개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스킬은 에픽, 전설 장비를 다 맞추었을 때 스킬 세 개는 30, 나머지 스킬 세 개는 10으로 개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킬 레벨은 0과 30일 때 계수가 두 배 차이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위의 스킬 표는 전부 스킬 레벨 30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룬은 화력, 분출, 잿더미를 사용하더라도 분출은 열기 생성 목적으로 사용하는 룬이지 대미지 지분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딜 싸이클에서 사용 횟수가 많은 1번, 기본 계수가 높은 3번, 핵심 스킬인 5번에 스킬 레벨을 투자하면 되겠습니다. 만약 골드가 모자라는 경우라면 1번과 5번 위주로 스킬 레벨을 올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화염술사 보석 세공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잿더미가 연타, 원소 태그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스킬들은 원소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1순위는 원소 대미지 증가, 2순위는 연타 대미지 증가입니다. 그리고 분출이 상대적으로 긴 쿨타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타, 원소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효과도 유효 옵션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화력, 분출, 잿더미를 사용할 때는 1번 5번 스킬은 연타, 원소로 깔끔하게 묶이면서 태그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