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급발진 인정 안 하는 이유

자동차 급발진 인정 안 하는 이유

자동차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

브레이크 시스템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조입니다.

진공 부스터

브레이크 페달 바로 뒤에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가 있습니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필요한 힘을 줄여주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생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적은 힘으로도 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스터 실린더

진공을 생성하는 엔진에 문제가 생기거나 진공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능이 상실되면 운전자는 부스터의 도움 없이 브레이크를 움직여야 하므로 더 큰 힘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작동합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식 장치입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발생한 기계적인 힘이 마스터 실린더로 전달되면, 이 힘이 브레이크 오일을 통해 유압으로 변환됩니다. 생성된 유압은 브레이크 라인을 통해 각 바퀴의 브레이크 패드로 전달됩니다.

브레이크 유압

브레이크 패드와 자동차 바퀴의 디스크 사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매우 가깝습니다. 이 거리는 보통 0.5mm에서 1.0mm 사이입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움직이기만 한다면 발생한 유압으로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만들어내도록 할 수 있습니다.

ABS(Anti-lock Braking System)에 의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이야기도 틀린 말입니다. ABS 장치는 브레이크가 차량 바퀴를 잠기지 않도록 조절하여 제동 거리를 줄이는 것을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ABS가 고장나면 브레이크는 여전히 작동하지만, 차량의 바퀴가 잠겨 제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을 뿐입니다.





브레이크등 작동 원리

브레이크등

브레이크등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브레이크등은 차량 제동 여부와 상관없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을 때는 회로가 연결되지 않아 불이 들어오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는 회로가 연결되며 불이 들어오는 매우 단순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브레이크를 밟았으나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아서 브레이크등이 켜지지 않았다는 것은 충분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급발진 사고 원인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브레이크 페달 자체가 부러짐
  • 브레이크 페달 밑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서 잘 안 밟히는 상태
  • 브레이크 패드가 완전히 마모(전조 증상이 있을 수밖에 없음)
  • 마스터 실린더가 파손
  • 브레이크 유압 라인이 파손

하지만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건들을 조사해보면 기계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었던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사고의 원인은 브레이크 페달 밑에 이물질이 들어갔거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대신 가속 페달을 밟았던 것. 두 가지 상황밖에 없습니다. 최근 시청역 역주행 사고로 큰 인명 피해를 내고 급발진을 주장한 노인이 사고 당시 몰았던 차량이 최근 4년 동안 무려 6차례 사고를 낸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급발진 주장이 노인들의 무기가 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커지고 있습니다. 인지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느끼고 있거나 잘못된 두발 운전 습관 등을 가지고 있다면 인명 사고를 내지 않도록 미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령 운전자 면허증 반납

서울시 운전면허 반납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여러 지자체에서 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운전면허증을 자진 반납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7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10만 원이 충전된 교통 카드를 지급하고 있고, 대구시는 10만 원이 충전된 대구로페이 선불 카드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운전면허증을 반납하면 됩니다. 교통 카드라고 하더라도 편의점 등 다양한 사용처가 있기 때문에 고령이라면 면허증을 반납하고 해당 혜택을 챙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 남기기